HashMap이란
HashMap은 Key, Value를 저장하는 Map의 구현체 중 하나입니다. 자료구조에 Key를 넣으면 Value를 반환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HashMap은 Key를 Hashing을 하여 저장하여 빠르게 처리 그리하여 HashMap이란 입력과 삭제에 대해 시간복잡도가 O(1)인 자료구조라고 합니다.
initialize
우리가 Java를 사용할때 HashMap을 사용한다고 한다면 가장먼저 초기화를 해야합니다. (Key, Value는 모두 String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면 아래와같이 초기화 할 것입니다.
Map<String, String> map = new HashMap<>();
이때 내부에서는 어떤일이 일어나는지 보겠습니다.
/**
* Constructs an empty <tt>HashMap</tt> with the default initial capacity
* (16) and the default load factor (0.75).
*/
public HashMap() {
this.loadFactor = DEFAULT_LOAD_FACTOR; // all other fields defaulted
}
위와 같은 생성자가 실행이 될 것입니다. 내용을 살펴보면 loadFactor에 DEFAULT_LOAD_FACTOR(0.75)를 주입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만으로는 내부 구조가 어떻게 되어있는지는 알기 힘들것 같습니다. 그러면 이어서 실제 데이터를 넣어보도록 하겠습니다.
put
map.put("test", "test");
위와 같은 행위를 했을 때는 어떤 일이 일어날 지 다시 내부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public V put(K key, V value) {
return putVal(hash(key), key, value, false, true);
}
/**
* Implements Map.put and related methods.
*
* @param hash key를 hash한 값
* @param key key 값
* @param value value 값
* @param onlyIfAbsent true 라면 key 중복에 대해 값 교체 없음.
* @param evict if false, the table is in creation mode.
* @return previous value, or null if none
*/
putVal 이라는 method를 호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여기에 hash와 putVal이라는 method가 추가로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hash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static final int hash(Object key) {
int h;
return (key == null) ? 0 : (h = key.hashCode()) ^ (h >>> 16);
}
key 값을 int형으로 변형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내부로직으로 볼때 key가 null이라면 0을 리턴하며, key가 null이 아니라면 해당 key의 Object class에 있는 hashcode() method를 실행하고 리턴 값인 int를 얻어낸 후 16번 오른쪽으로 unsigned right shift한 값과 XOR을 하여 사용할 hash값을 얻어냅니다.
이렇게 얻어낸 hash값, Key, Value, onlyIfAbsent, evict 값을 이용하여 putVal method를 실행합니다.
final V putVal(int hash, K key, V value, boolean onlyIfAbsent,
boolean evict) {
// local variable
Node<K,V>[] tab;
Node<K,V> p;
int n, i;
// logic
if ((tab = table) == null || (n = tab.length) == 0)
n = (tab = resize()).length;
if ((p = tab[i = (n - 1) & hash]) == null)
tab[i] = newNode(hash, key, value, null);
else {
Node<K,V> e; K k;
if (p.hash == hash &&
((k = p.key) == key || (key != null && key.equals(k))))
e = p;
else if (p instanceof TreeNode)
e = ((TreeNode<K,V>)p).putTreeVal(this, tab, hash, key, value);
else {
for (int binCount = 0; ; ++binCount) {
if ((e = p.next) == null) {
p.next = newNode(hash, key, value, null);
if (binCount >= TREEIFY_THRESHOLD - 1) // -1 for 1st
treeifyBin(tab, hash);
break;
}
if (e.hash == hash &&
((k = e.key) == key || (key != null && key.equals(k))))
break;
p = e;
}
}
if (e != null) { // existing mapping for key
V oldValue = e.value;
if (!onlyIfAbsent || oldValue == null)
e.value = value;
afterNodeAccess(e);
return oldValue;
}
}
++modCount;
if (++size > threshold)
resize();
afterNodeInsertion(evict);
return null;
}
위쪽에는 putVal method를 모두 가져왔습니다. 그러면 차근차근 putVal의 로직을 하나씩 따라가 보겠습니다.
if ((tab = table) == null || (n = tab.length) == 0)
n = (tab = resize()).length;
맴버변수 table에 값이 들어있는지 확인 한 후 크기를 확인합니다. table은 한번이라도 put을 했다면 null이 아닐것입니다만, 저희는 처음 put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로직이 실행되어지게 됩니다. resize()
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final Node<K,V>[] resize() {
Node<K,V>[] oldTab = table;
int oldCap = (oldTab == null) ? 0 : oldTab.length;
int oldThr = threshold;
int newCap, newThr = 0;
if (oldCap > 0) {
if (oldCap >= MAXIMUM_CAPACITY) {
threshold = Integer.MAX_VALUE;
return oldTab;
}
else if ((newCap = oldCap << 1) < MAXIMUM_CAPACITY &&
oldCap >= DEFAULT_INITIAL_CAPACITY)
newThr = oldThr << 1; // double threshold
}
else if (oldThr > 0) // initial capacity was placed in threshold
newCap = oldThr;
else { // zero initial threshold signifies using defaults
newCap = DEFAULT_INITIAL_CAPACITY;
newThr = (int)(DEFAULT_LOAD_FACTOR * DEFAULT_INITIAL_CAPACITY);
}
if (newThr == 0) {
float ft = (float)newCap * loadFactor;
newThr = (newCap < MAXIMUM_CAPACITY && ft < (float)MAXIMUM_CAPACITY ?
(int)ft : Integer.MAX_VALUE);
}
threshold = newThr;
@SuppressWarnings({"rawtypes","unchecked"})
Node<K,V>[] newTab = (Node<K,V>[])new Node[newCap];
table = newTab;
if (oldTab != null) {
for (int j = 0; j < oldCap; ++j) {
Node<K,V> e;
if ((e = oldTab[j]) != null) {
oldTab[j] = null;
if (e.next == null)
newTab[e.hash & (newCap - 1)] = e;
else if (e instanceof TreeNode)
((TreeNode<K,V>)e).split(this, newTab, j, oldCap);
else { // preserve order
Node<K,V> loHead = null, loTail = null;
Node<K,V> hiHead = null, hiTail = null;
Node<K,V> next;
do {
next = e.next;
if ((e.hash & oldCap) == 0) {
if (loTail == null)
loHead = e;
else
loTail.next = e;
loTail = e;
}
else {
if (hiTail == null)
hiHead = e;
else
hiTail.next = e;
hiTail = e;
}
} while ((e = next) != null);
if (loTail != null) {
loTail.next = null;
newTab[j] = loHead;
}
if (hiTail != null) {
hiTail.next = null;
newTab[j + oldCap] = hiHead;
}
}
}
}
}
return newTab;
}
resize()의 코드의 흐름을 확인해보면, 이미 초기화 되어있는지 아닌지 확인후 아래와 같이 새로운 배열을 생성합니다. 그리고 만약 기존의 배열(초기화가 이미 진행)이 있다면 index의 위치를 재조정합니다.
Node<K,V>[] newTab = (Node<K,V>[])new Node[newCap];
이로써 우리는 HashMap은 사실 LinkedList 배열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resize()를 거친 후 우리는 hash & (n - 1)의 index 즉 (hash % n - 1)의 index에 아무런 값이 들어 있지 않으면 아래와 같이 새로운 노드를 아래와 같이 집어넣게됩니다.
if ((p = tab[i = (n - 1) & hash]) == null)
tab[i] = newNode(hash, key, value, null);
newNode를 들여다 보면 아래와 같이 새로운 Node를 만들어 해당 배열에 넣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Node<K,V> newNode(int hash, K key, V value, Node<K,V> next) {
return new Node<>(hash, key, value, next);
}
Node는 LinkedList를 구현한 객체라고 보시면 되며 구셩요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static class Node<K,V> implements Map.Entry<K,V> {
final int hash;
final K key;
V value;
Node<K,V> next;
...
}
하지만 만약 해당 index에 이미 값이 들어 있다면 해당 LinkedList의 마지막에 연결해야합니다. 해당 로직을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Node<K,V> e; K k;
if (p.hash == hash &&
((k = p.key) == key || (key != null && key.equals(k))))
e = p;
else if (p instanceof TreeNode)
e = ((TreeNode<K,V>)p).putTreeVal(this, tab, hash, key, value);
else {
for (int binCount = 0; ; ++binCount) {
if ((e = p.next) == null) {
p.next = newNode(hash, key, value, null);
if (binCount >= TREEIFY_THRESHOLD - 1) // -1 for 1st
treeifyBin(tab, hash);
break;
}
if (e.hash == hash &&
((k = e.key) == key || (key != null && key.equals(k))))
break;
p = e;
}
}
3가지의 경우의 수가 나올 수 있습니다. 가장먼저 hash값과 실제 값이 같다면(equals가 true)면기존에 있던 값을 교체합니다.
if (p.hash == hash &&
((k = p.key) == key || (key != null && key.equals(k))))
e = p;
그렇지 않다면 아래 로직이 실행됩니다. 먼저 TreeNode인지 판단을 하고 그러다면 TreeNode에 값을 넣으면 그렇지 않다면 마지막 node의 마지막에 새로운 노드를 넣게 됩니다.
p.next = newNode(hash, key, value, null);
이렇게 HashMap의 put이 1의 시간복잡도를 가지는 이유는 hashing을 배열의 index값으로 해 그 곳에 바로 집넣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다음은 remov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emove
remove는 key값을 기준으로 탐색하여 해당 key 값에 대한 value가 존재한다면 삭제하며 존재히지 않는다면 null값을 반환하는 method입니다. method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public V remove(Object key) {
Node<K,V> e;
return (e = removeNode(hash(key), key, null, false, true)) == null ?
null : e.value;
}
final Node<K,V> removeNode(int hash, Object key, Object value,
boolean matchValue, boolean movable) {
Node<K,V>[] tab;
Node<K,V> p;
int n, index;
if ((tab = table) != null && (n = tab.length) > 0 &&
(p = tab[index = (n - 1) & hash]) != null) {
Node<K,V> node = null, e; K k; V v;
if (p.hash == hash &&
((k = p.key) == key || (key != null && key.equals(k))))
node = p;
else if ((e = p.next) != null) {
if (p instanceof TreeNode)
node = ((TreeNode<K,V>)p).getTreeNode(hash, key);
else {
do {
if (e.hash == hash &&
((k = e.key) == key ||
(key != null && key.equals(k)))) {
node = e;
break;
}
p = e;
} while ((e = e.next) != null);
}
}
if (node != null && (!matchValue || (v = node.value) == value ||
(value != null && value.equals(v)))) {
if (node instanceof TreeNode)
((TreeNode<K,V>)node).removeTreeNode(this, tab, movable);
else if (node == p)
tab[index] = node.next;
else
p.next = node.next;
++modCount;
--size;
afterNodeRemoval(node);
return node;
}
}
return null;
}
removeNode()
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해당 table의 index에 값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여 있어야 로직을 실행합니다.
if ((tab = table) != null && (n = tab.length) > 0 &&
(p = tab[index = (n - 1) & hash]) != null)
그리고 해당 index의 첫번째 node가 equals로 true가 나오는지 확인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해당 index의 내부를 순회하며 equals가 true인 경우가 있을 때 까지 순회하며 임시변수 node에 넣습니다.
if (p.hash == hash &&
((k = p.key) == key || (key != null && key.equals(k))))
node = p;
else if ((e = p.next) != null) {
if (p instanceof TreeNode)
node = ((TreeNode<K,V>)p).getTreeNode(hash, key);
else {
do {
if (e.hash == hash &&
((k = e.key) == key ||
(key != null && key.equals(k)))) {
node = e;
break;
}
p = e;
} while ((e = e.next) != null);
}
}
node에 값이 있다라는 것은 지울 Node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node에 값이 없다면 null을 바로 return 하며 값이 있다면 해당 node를 삭제합니다.
if (node != null && (!matchValue || (v = node.value) == value ||
(value != null && value.equals(v)))) {
if (node instanceof TreeNode)
((TreeNode<K,V>)node).removeTreeNode(this, tab, movable);
else if (node == p)
tab[index] = node.next;
else
p.next = node.next;
++modCount;
--size;
afterNodeRemoval(node);
return node;
}
정리
이렇게 우리는 Hashmap의 put과 remove 메서드를 통해 HashMap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정리를 해보면
- HashMap은
Node<K,V>[] newTab = (Node<K,V>[])new Node[newCap]
으로 되어있다. - put으로 data를 넣으면 Node<K,V>[hashing 값 & 배열 크기 - 1]에 값이 들어가고, key가 같고 value가 다르면(equals가 false) linkedlist의 자료구조로 이어서 붙는다.
- remove를 하게되면 Node<K,V>[hashing 값 & 배열 크기 - 1]에 값이 있는지 확인 후 key 값을 비교후 가져오거나 없다면 null.
- put이 많아져 들어있는 양이
loadFactor
를 넘게되면 배열의 크기를 재산정함(현재 크기의 2배로) - 하나의 index에 들어있는 값이 많아지면 tree의 형태로 변환.(Java8 이상)
- Hashmap의 시간복잡도가 O(1)인 이유는 key값을 (hashing & n - 1)으로 직접 index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부구조가 아래와 같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참조
https://www.w3schools.com/java/java_hashmap.asp
https://docs.oracle.com/javase/8/docs/api/java/util/HashMap.html
'기타 >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코드로 알아보는 java의 EnumMap (0) | 2020.12.06 |
---|---|
[자료구조] 코드로 알아보는 java의 LinkedHashMap (0) | 2020.10.19 |
[자료구조] 코드로 알아보는 java의 HashSet (0) | 2020.02.17 |
[자료구조] 코드로 알아보는 java의 LinkedList (0) | 2020.02.14 |
[자료구조] 코드로 알아보는 java의 ArrayList (0) | 2020.02.12 |
댓글